안녕하세요! AI와 반도체 업계 소식에 늘 귀 기울이는 투자자입니다.
엔비디아가 2026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이번 발표에 투자자들의 반응은 엇갈립니다.
한쪽에서는 환호성을, 다른 한쪽에서는 약간의 우려를 보이고 있죠.
그 이유를 제 경험을 바탕으로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엔비디아 2분기 실적 총정리
2025년 5월부터 7월까지의 2026 회계연도 2분기 매출은 467억 4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6% 성장했습니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 460억 6천만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었죠.
순이익도 257억 8천만 달러로 59% 급증했고, 주당순이익(EPS)은 1.05달러로 시장 전망 1.01달러를 상회했습니다.
이렇게 놀라운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시간외 거래에서 엔비디아 주가가 2~3% 하락한 이유가 궁금하시죠?
바로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이 예상에 조금 미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엔비디아의 핵심 사업 부문인 데이터센터 매출은 411억 달러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지만,
시장 예상치 413억 4천만 달러보다 약간 부족했습니다.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GPU 칩 매출은 338억 달러로 직전 분기 대비 1% 감소했고, 이 부분이 주가 하락의 주요 요인이었습니다.
특히 중국 시장의 'H20 칩' 수출 중단으로 약 45억 달러의 매출 손실이 발생했으며,
판매가 가능했다면 최대 80억 달러의 추가 매출이 가능했다고 합니다.
중국 시장 공백, 엔비디아의 전망은?
중국 수출 중단에 따른 아쉬움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 경영진은 중국 시장이 재개방된다면 분기 매출이 20~50억 달러 추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지정학적 긴장과 수출 규제로 인해 당장 이를 반영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3분기 매출 전망치는 540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 531억 달러를 상회했고,
블랙웰 칩 매출도 전 분기 대비 17% 성장하는 등 긍정적인 신호도 있습니다.
게임 부문은 여전히 호조, 로보틱스도 성장 중!
전통적인 엔비디아의 '주력 사업'인 게임 부문 매출은 43억 달러로 49% 증가하며 기대를 뛰어넘었습니다.
로보틱스 분야 매출도 5억 8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69% 성장했지만, 시장 예상치에는 소폭 미치지 못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느낀 점과 전망
AI 관련주에 투자하면서 엔비디아 주가를 수시로 확인하는 입장에서, 이번 실적 발표는 복잡한 감정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실적 자체는 분명 미래의 가능성을 보여주지만, 중국이라는 거대 시장의 부재가 단기적으로 주가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저는 '장기 투자'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합니다.
AI 인프라 투자 규모가 2030년까지 3~4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엔비디아가 그 시장의 주도권을 잡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결론: '중국 변수'만 해소되면 엔비디아의 재도약?
이번 2분기 발표는 '최고의 성과와 동시에 현실적인 제약'을 동시에 보여주었습니다.
- 글로벌 AI 붐을 타고 56% 성장이라는 강력한 기본기
- 중국 내 수출 중단으로 인한 데이터센터 GPU 매출 둔화
- 3분기에는 중국 변수를 제외해도 시장 예상을 초과하는 매출 전망
투자자의 관점에서 이번 실적은 엔비디아의 장기 성장 잠재력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면서도 단기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을 일깨워주었습니다.
앞으로 중국 시장이 회복된다면 재도약의 모멘텀이 확실할 것이니, 꾸준한 관심과 분산 투자를 권해드립니다.
'미장 > 엔비디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비디아 빅테크 AI 투자, 경기 침체 우려도 '솔솔'… 금리인하 전망은? (16) | 2025.08.30 |
---|---|
알리바바 AI 칩 공개, 중국이 엔비디아를 넘볼 수 있을까? 엔비디아 하반기 전망은? (12) | 2025.08.29 |
엔비디아 젯슨 AGX 토르, 486만 원짜리 로봇 두뇌의 매력에 빠지는 이유! (13) | 2025.08.26 |
"엔비디아 루빈 출시 지연?" 그 이면의 진실을 파헤쳐보겠습니다! (16) | 2025.08.15 |
엔비디아 H20 중국 매출 15% 납부 악재인가? 호재인가? 원인 분석 및 목표 주가... (28)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