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이제 정말 연금 준비해야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특히 요즘 SNS에서 "50세에 매달 75만원씩 10년간 넣으면 나중에 얼마 받을까?" 하는 시뮬레이션 글들이 돌고 있는데요.
제가 직접 계산기를 두드려보며 현실을 파헤쳐볼게요!
75만원 납입, 과연 가능할까요?현실을 체크해볼게요!
일단 월 75만원 보험료를 내려면 기준소득월액이 무려 833만원이어야 해요.
그런데 잠깐! 국민연금에는 상한액이 있답니다. 2025년 기준 월 637만원이 최대예요.
실제로는 상한액 기준으로 월 57만 3천원이 최대 보험료예요. 제가 아무리 "75만원 내겠다!"고 해도 시스템에서 받아주지 않는다는 거예요.
10년 뒤 실제 받게 되는 금액은 얼마일까요?
50세 늦깎이 임의가입자가 상한액 기준으로 10년간 납입했을 때 예상 수령액을 계산해볼게요.
실제 납입 조건
- 월 보험료: 57만 3천원 (상한액 기준)
- 10년 총 납입액: 약 6,880만원
- 예상 월 수령액: 약 96만원
이 금액은 기초연금(34만원)보다 62만원 더 많고, 평균 국민연금 수령자(67만원)보다도 29만원 더 받는 수준이에요.
임의가입자의 현실, 이것만은 알고 가세요!
- 임의가입 신청 조건
-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 무소득자
- 전업주부,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가입 가능
- 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어요
- 수익성은 어떨까요?
제가 계산해보니 6년 정도면 원금 회수가 되고, 20년간 받으면 수익률이 235%나 되더라고요.
은행 정기예금과는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죠!
국민연금의 3가지 허점, 알고 계셨나요?
허점 1: 기초연금 vs 국민연금의 역설
성실하게 국민연금을 냈는데 기초연금 감액당하는 황당한 상황이 벌어져요. 국민연금을 51만원 이상 받으면 기초연금이 최대 월 17만원까지 깎입니다.
"젊어서 열심히 일한 사람이 오히려 손해"라는 볼멘소리가 나올 만하죠.
허점 2: 맞벌이 부부의 슬픈 현실
부부가 함께 가입했는데 한 명이 먼저 세상을 떠나면? 중복급여 금지 때문에 둘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해요.
자신의 노령연금 선택 → 유족연금의 30%만 추가
유족연금 선택 → 자신의 연금은 0원
"괜히 부부가 같이 가입했나" 하는 후회가 밀려올 수밖에 없어요.
허점 3: 재취업하면 연금 깎는 제도
65세 이후 월 286만원 이상 벌면 국민연금이 최대 50%까지 감액돼요.
"건강한데 일 더 하고 싶은데..." 하는 분들에게는 찬물이죠.
그래도 임의가입을 권하는 이유 제가 3년 전 지인의 권유로 개인연금 대신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을 선택했는데, 지금도 잘한 선택이라고 생각해요.
장점들
- 국가 보장 - 민간보험 회사 망해도 국가는 안 망하잖아요
- 물가상승률 반영 - 매년 2~3%씩 인상
- 세액공제 혜택 - 연간 최대 99만원까지
주의사항들
- 10년 미만 가입 시 연금 대신 일시금만 받아요
- 임의가입자 감소 추세 - 2021년 40만명 → 2025년 35만명
마무리: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때
"50세에 시작하기엔 너무 늦었나?" 하는 분들께 솔직히 말씀드리면, 지금이라도 시작하세요.
10년만 채워도 기초연금보다 훨씬 많이 받을 수 있고, 무엇보다 국가가 보장하는 안정성은 어디서도 찾기 힘들거든요.
다만 SNS에 떠도는 "월 75만원" 같은 과장된 정보보다는, 실제 상한액인 월 57만원 기준으로 현실적인 계획을 세우세요.
그래도 충분히 매력적인 투자수익률이니까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번의 도전 끝에 드디어 합격! 구글 애드센스 신청 A to Z 실전 후기 (0) | 2025.07.26 |
---|---|
은행 가기 전, 꼭 알아야 할 대출 한도 핵심 용어 정리해요! (2) | 2025.07.26 |
실패 없이 통과한다! Google Play 스토어 앱 심사 올패스 전략 대공개 (3) | 2025.07.26 |
스테이블코인 개념 및 투자법! A부터 Z까지 속속들이 파헤쳐봤어요 (5) | 2025.07.26 |
영어유치원 금지법, 핵심 요약 정리! (6)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