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가 찜한 배당주 탑픽! 어떤게 있을까? feat. 총정리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지난달 투자 동아리 모임에서 배당주 투자에 대한 질문을 받고 며칠간 고민에 빠졌어요.

 

정부의 세제 개편안 발표 이후 배당소득 분리과세 대상 종목을 찾는 투자자들의 열기가 뜨거웠거든요.

배당소득 분리과세 세부 내용 출처. 매일경제

제가 직접 조사하고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증권사들이 추천하는 배당주가 정말 '골든 티켓'인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2%"라는 냉혹한 현실

정부가 제시한 배당소득 분리과세 조건을 보니 정말 까다롭더라고요.

 

배당 성향 40% 이상이거나, 25% 이상이면서 직전 3년 평균 대비 5% 이상 배당이 증가한 기업만 해당된다는 거예요.

 

전체 상장사 2,300개 중 단 2%인 52개 종목만 이 조건을 충족한다니, 제 예상보다 훨씬 적은 수였어요.

 

실제로 제 포트폴리오의 삼성전자는 배당 성향 28.5%로 25% 기준은 넘겼지만, 3년 평균 대비 5% 증가 요건은 충족하지 못했어요.

 

지난해 총배당금 9조 8,000억 원이라는 어마어마한 규모에도 불구하고 기준에 미치지 못하다니, 정말 엄격한 조건이더라고요.

 

 

 

증권사별 '찜' 리스트 대공개

대신증권이 주목한 종목들

POSCO홀딩스, KT, LG, NH투자증권, LG유플러스, 삼성카드 등 전통적인 고배당주들이 배당 성향 40% 이상 조건을 만족한다고 해요.

 

저도 KT를 몇 년 전부터 보유 중인데, 꾸준한 배당 정책 덕분에 '월급쟁이 주식'이라고 불릴 만하더라고요.

배당소득 분리과세 요건 충족 가능성 높은 종목 출처. 매일경제

하나증권의 성장성 중심 선별

롯데지주, 스카이라이프, 케이카, 드림텍 등 시가총액이 크고 성장성 높은 종목에 주목했어요.

 

특히 케이카 같은 사모펀드 포트폴리오 종목은 배당 성향이 100%를 훌쩍 넘는다니, 정말 놀랍더라고요.

 

유안타증권의 자사주 매입 전략

KT&G, HL홀딩스, 코웨이, 파트론 등 자사주 매입 상위 30% 기업 중 배당 성향 40% 이상 종목을 추천했어요.

 

과거 자사주 매입 공시가 나온 종목에 투자했을 때, 단기적으로 주가 방어 효과를 체감했던 기억이 나네요.

 

 

 

사모펀드 포트폴리오의 특별함

케이카(한앤컴퍼니 포트폴리오)는 지난 3년 배당 성향이 120%, 129%, 126%를 기록했어요.

 

에이블씨엔씨도 2023년 무려 605% 배당 성향을 보였다고 해요.

 

사모펀드 특성상 대주주에게 유리한 배당 정책을 펼치고, 출자자(LP)에게 일정 수익을 돌려줘야 하다 보니 이런 높은 배당 성향이 가능한 거죠.

 

과거 사모펀드 관련 종목 투자 경험에서 '배당 깜짝쇼'를 여러 번 목격했어요.

 

 

 

나의 배당주 투자 경험기

성공 사례: KT

몇 년 전 KT를 4만 원대에 매수했는데, 꾸준한 배당(연 3-4%)으로 배당 재투자를 통해 평균 매수 단가를 낮출 수 있었어요.

 

특히 주가가 제자리걸음을 할 때도 배당금이 심리적 안정감을 줘서 투자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었던 게 가장 큰 매력이었죠.

 

아쉬운 사례: 고배당 ETF

고배당 ETF에 투자할 때 배당률만 보고 섣불리 투자했다가, 주가 하락분을 배당으로 만회하지 못해 손실을 본 적이 있어요.

 

"높은 배당만으로는 투자가 성공하지 않는다"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현재 배당주 투자, 어떻게 접근할까?

긍정적 요소

  • 정부의 주주환원 확대 정책은 여전히 유효
  • 당정 협의 과정에서 세제 개편안의 여지 존재
  • 장기적으로 배당 투자의 매력은 계속 증가할 전망

 

주의해야 할 점

  • 세제 개편에 대한 실망감으로 고배당주 투자 심리 위축
  • 하반기 정치권 논의로 인한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 펀더멘털이 탄탄한 종목 선별이 중요

 

 

 

나만의 배당주 투자 전략

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나만의 투자 전략은 다음과 같아요.

  1. 분할 매수: 한 번에 몰아서 투자하지 말고 여러 시기에 나눠 매수
  2. 배당 재투자: 받은 배당금으로 추가 매수해 복리 효과 극대화
  3. 업종 분산: 금융주에만 치중하지 말고 통신, 지주회사 등으로 투자 영역 확대
  4. 펀더멘털 체크: 배당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기업의 재무 건전성 면밀히 확인
반응형